728x90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자신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 판단 등에 머물러 있고, 새로운 정보나 의견을 수용하는데 인색하다면, 혹은 수용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면 보수주의 편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투자활동을 하면서 조달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에 대한 주식을 가지고 있는데 금리가 급상승하는 상황에서도 기존의 사업에 대한 평가를 고수하고 새로운 환경적 요인에 대해 수용을 못해서 계속 가지고 있다가 시장가격이 떨어지는 것을 경험한다면 보수주의 편향에 영향 받은 사례로 볼 수 있다.
보수주의 편향과 유사하게 현상유지 편향도 있다.
기업의 핵심 역량을 분석할 때 현상유지 편향이 있는지를 검증해 보는 것도 유의미 할 것 같다.
어떤 기업이 기존에 운영하던 비즈니스모델이 사업 환경이 달라져 더 이상 수익을 낼 수 없고, 이대로 가다가는 사업이 망할 수 도 있는 상황인데, 현상을 유지하려는 성향 때문에 적절하게 사업 방향 전환 (피봇팅)을 하지 못했다면 현상유지 편향이 있다고 할 수 있고, 이런 성향의 회사는 투자 대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 내릴 수도 있다.
728x90
'행동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욕과 공포는 돌고 돈다 (1) | 2024.12.28 |
---|---|
투자활동과 확증편향 (0) | 2023.09.01 |
투자활동과 감정 편향 (0) | 2023.09.01 |
투자활동과 대표성 편향 (0) | 2023.09.01 |
투자활동과 이용가능성 편향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