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Git 3

[Git] Github repository token 재발행/재등록

Github 토큰이 만료되었다고 해서 버튼 눌러 regenerate 했다. 콘솔에서는 다음과 같이 remote 값을 보고 이를 변경할 수 있다. $ git remote -v originhttps://[깃헙아이디]:[만료되는깃헙토큰]@github.com/[깃헙아이디]/[프로젝트명].git (fetch) originhttps://[깃헙아이디]:[만료되는깃헙토큰]@github.com/[깃헙아이디]/[프로젝트명].git (push) $ git remote set-url origin https://[깃헙아이디]:[새로발급받은깃헙토큰]@github.com/[깃헙아이디]/[프로젝트명].git

IT 2023.04.09

[Git] Git-flow 전략 사용하기

팀을 이루어 개발을 하기 시작하면서 적절한 협업 개발 방법이 필요했다. Git-flow가 유명한 듯 해서 도입하기로 했다. (사실 보자마자 직관적이라 도입했다) 그림 한 번 훑고 세상 간단한 설명으로 넘어가 보자. Main Branch github에 최초로 repository를 만들면 main(혹은 master) 라는 브랜치가 생긴다. 에러도 없고 최종 배포가 가능한 버전이 유지 되는 브랜치다. 평소에 개발하면서 main 브랜치를 바로 건드리는 경우는 없다. Develop Branch 대신 Develop 이라는 브랜치를 새로 만들어서 여러명이서 개발하는 내용들을 병합한다.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콘솔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 git branch Develop 그리고 해당 브랜치를 ..

IT 2023.01.17

[github] 로컬 프로젝트 github로 올려 관리하기

로컬에서만 개발하더라도 기록 및 되돌림을 위해 git을 사용했다. $ git init 특정 기능을 개발하면 커밋 하고 $ git add . $ git commit -m "이 기능은 완료" 그러다가 특정 프로젝트를 다른 collaborator와 함께 작업하게 되었다. 내가 작업하던 base를 github로 올려 함께 작업하기로 했다. 해야 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github에 계정 만들기 (보통 이미 만들어 놨겠지만) github에서 프로젝트 만들기 github에 personal token 만들기 로컬에서 github로 연결(origin 설정하고 push 하기) 2단계에서 프로젝트를 만들 때에는 README.md 나 .gitignore 는 생성하지 않고 빈 프로젝트를 만든다. 나의 경우에는 private으..

IT 2023.01.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