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세금 3

상호금융의 조합원 세금우대저축의 혜택(3000만원 한도)

고금리 (였던) 시기라 자산 증식을 위해 예금 상품에 가입하는 사람이 많다. 관련해서 세금우대 효과를 볼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한다. 은행과 달리, 새마을금고나 수협 같은 조합의 경우에 세금우대 혜택이 있다. 조세특례제한법 제89조의3 【조합등예탁금에 대한 저율과세 등】 조합에 대한 예탁금 주에 3천만원에 한해 작년까지는 이자소득세를 비과세 처리했는데, 올해 2023년에는 이자소득의 5%를 과세한다. 내년 2024년에는 9%로 상향된다. 일반적인 은행의 이자소득세는 15.4% 인 점을 감안하면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활용할 만한 혜택이다. 새마을금고의 출자금 배당 나는 새마을금고에 조합원으로 등록하고 세금우대를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조합비(출자금)에 대해서 배당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작년에는 출자금에 ..

경제(활동) 2023.02.16

회사에서 왜 식대를 따로 주나.. 돈으로 주지..

최근 연말정산 관련해 포스트를 작성하다보니 또 하나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가 생겼다. 복리후생 차원에서 식대가 지급되는 회사가 있는데 왜 돈으로 안주나 싶을 때가 있다. 기본 급여에 10만원 추가로 주는 것 vs. 식대로 따로 10만원 추가로 주는 것의 차이는 "비과세급여"에 해당하느냐 아니냐에 있다. 식대는 한해 최대 20만원까지 비과세급여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대로 따로 10만원을 받는다면 이 금액은 내가 받아 밥먹는데 썼지만 과세 급여가 아니기 때문에 세금관련 비과세급여로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급여에 포함해 받는 것보다 직장인 본인에게 유리하다. 세금과 공제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겠다. https://searchdiary.tistory.com/entry/%E..

경제(활동) 2023.01.26

직장인들은 알고 있어야 할 연말정산 개념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을 한다. 물론 회사에서 편의를 봐주고 처리해 주기는 하지만 기본 개념을 알아야 처리도 잘하고 절세도 누릴 수 있다. 원천징수 직장인은 세금을 일단 내고 시작한다. 매월 원천징수된 세금을 월급명세서를 보면 확인 할 수 있다. 이건 순수하게 얼추 추정해서 세금을 미리 걷는 개념이다. 나중에 연말정산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정확하게 낼 세금을 계산해 낸다. 1년간 쌓인 기록을 가지고 정확하게 계산하면 세금을 추가로 더 내야 할지, 아니면 세금을 너무 많이 냈으니 환급받아야 할지가 나온다. 공제 공제는 세금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공제에 대해 잘 이해하면 절세로 가는 힌트를 얻을 수 있다. 공제에는 총 3가지가 있다. 근로소득공제, 종합소득공제, 세액공제. 근로소득공제 근로소득공제는 1년간 벌..

경제(활동) 2023.01.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