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우상향 하는 자산군을 발견하는 것에 대해 정리해 본다.
본질적인 수요
일단 Business 가 본질적으로, 근본적으로, 설명이 가능하게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개인이나, 사업의 장기적으로 더 커지는 수요가 있어야 한다.
잘나가는 시장 안에서 outperform 하는 경쟁력을 장기간 유지
Business 자체가 수요가 있는 시장이어야 하고, 그 안에서 특정 회사가 outperform 해야 한다.
수요가 있는 시장이라면 경쟁도 심하겠지만, 다 이겨낼 수 있는 돈 체력과 인력 체력, 의사결정 능력, 숫자 관리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 회사는 그 경쟁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기왕이면 이미 장기간 검증된 회사가 앞으로 그럴 것 같다는 회사보다 낫다.
그동안의 성과 결과만 보지 말고, 이유나 원인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그 경쟁력은 기술력에서 나오는 것일 수도 있고, 브랜드에서 나오는 것일 수도 있다.
탁월하고 최선을 다하는 Management 조직
사업이 잘되면 그 이득이 매우 큰 사람이 사업을 해야 한다.
짜증나도 내 사업이니까 해내고, 힘들어도 버티고, 쉴 때도 생각이나는 그런 매니지먼트가 회사를 운영해야 한다.
똑똑한데 성실한, 독실한, 처절하게 몰입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사업을 찾아야 한다.
스타트업은 오히려 쉽다. 대표이사가 곧 회사의 Management이자 대주주이니까.
상장사는 전문 경영인이다 임원이 수십명이다 뭐다 희석이 될대로 된 경우가 많아서 판단이 힘든 편이다.
힘들어도 찾아야 한다.
내가 어릴 때 분위기 파악을 못해서 그렇지,
스티브잡스가 CEO이고 팀 쿡이 COO 였던 애플을 몰라봤었고
일론 머스크가 CEO인 테슬라를 미처 몰라뵈었고
세르게이와 래리의 구글을 미처 알아보지 못했고
나델라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클라우드를 강화하겠다고 했을 때 믿음이 부족했던 나를 반성한다.
장기간 우상향하는 자산군 (asset group, assets)이 발견되면 그 다음 고민으로 넘어갈 수 있다.
'경제(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 PBR 밴드 보는 방법 (0) | 2023.09.08 |
---|---|
경제상황과 시장상황 (0) | 2023.09.05 |
미국 주식 중 ADR이 붙은 주식 (0) | 2023.09.05 |
투자기업, 관계기업, 종속기업의 차이 (0) | 2023.08.30 |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로 ETF 수수료 확인하기 (0) | 2023.08.05 |